부석사에 가기 전 조사를 하고 출발했습니다.
부석사를 가게된 계기는 공부하고 있는 한국사능력검정시험에서 등장하는 유적지나 국보 등을 탐방 목적으로 갔습니다!
가서 직접 보고 오면 기억이 잘 나게 되는 법이니까요~
그런데 가는길에 우연히 들르게 된 단양팔경휴게소(부산방향).
제가 방문한 단양팔경휴게소(부산방향)은 이름부터 외관까지 뭔가 예스러운 느낌인데요^^
알고 보니 반대방향인 단양팔경휴게소(춘천방향)에 숨은 유적지인 "단양 적성비"가 있다는 사실!!
우리나라 국보 198호이며, 신라 진흥왕때 건립된 신라의 비입니다.
반대방향에 있어 보지 못하는 게 안타까울 뿐입니다. 다음번에는 방문할 수 있기를요~
1. 부석사 기본 정보
- 경북 영주시 부석면 부석사로 345
- 우리나라 화엄사상의 발원지
- 676년(문무왕16) 의상이 왕명을 받들어 창건
- 5개 국보-무량수전, 조사당, 조사당벽화, 무량수전 앞 석등, 소조여래좌상
- 9개 보물
여기서 잠깐!
의상대사(625~702)는 조사해 보니 신라시대 승려로 화엄종의 개조이다.
당나라에서 화엄종을 연구하고 돌아와 10여 개의 사찰을 건립하고 화엄의 교종을 확립하는데 힘썼다.
건립한 사찰은
거창 우두산 고견사(667)
원주 치악산 구룡사(668)
강원도 양양 낙산사(671)
영주 순흥면 성혈사(673)
영주 소백산 부석사(676)
부산 금정산 범어사(679)
의성 단촌면 고운사(681)
의정부 사패산 회룡사(682)
산청 대성산 정취암(686) 등등
이 외에도 많이 있나봅니다. 동해 번쩍 서해 번쩍하셨네요!!!! 대단하시네요~
절을 건립하여 불교를 널리 전파하는데 힘쓰신듯 합니다.
2. 부석사 유래
이 사찰이 부석사로 불리게 된 것은 무량수전 서쪽에 큰 바위가 있는데
이 바위가 아래의 바위와 붙어있지않고 더 있어 ‘뜬 돌’ 이라 한데서 유래되었다고 합니다.
부석사에 벌써 여러번 방문이었는데, 부석사의 뜻도 모르고 아무생각없이 다녔던 거였네요..
3. 부석사 설화
부석사에 슬픈 혹은 아름다운 설화가 있습니다. 당나라로 불교를 배우기 위하여 신라를 떠난 의상은 그곳에서 선묘를 만나게 되고, 선묘는 의상대사를 사모하게 되었습니다. 선묘는 불교 유학을 마친 의상대사가 떠난다는 이야기를 듣고, 바닷가로 나가서 선묘는 의상대사가 입을 옷과 사용할 물건들을 담은 상자를 의상대사가 탄 배 쪽으로 던지고, 자신도 바다에 빠져 용이 되었다고 합니다. 용이 되어 의상이 부석사를 창건할 수 있게 도움이 되었다는 설화.
실제로 예전 역사스페셜에서 '부석사 지하에는 13미터 용이 있다'라는 내용의 프로그램이 있었습니다.
전설로만 여겨져 왔던 부석사의 석룡이 레이더 탐사 결과 실제길이 13m에 이르는 거대한 석룡이 발견된 것이다.
자연암반을 가공한 듯 정말 용의 등줄기는 솟아있고, 밑으로 내려가며 좁아지는 꼬리의 형상, 전체적으로 조금 휜 형태.
이 설화와 관련된 조형물(?)이 부석사 어딘가에 숨어있습니다. 아마도 현대에 만들어진거 같습니다.
가시는 분들 한번 찾아보시길요~~ㅎㅎ

4. 부석사 무량수전


5. 부석사 소조여래좌상
고려시대 초기에 제작된 것으로 우리나라 가장 크고 오래된 소조상.
소조상이란 나무로 골격을 만들고 진흙을 붙여가면서 만드는 것인데, 가장 크고 오래되어 가치가 크다.
얼굴은 풍만한 편이며, 근엄한 인상을 풍기며, 불상의 뒤를 보면 타오르는 불꽃모양을 표현되어 있는게 특징이다.
한국사능력검정시험 63회에 문제로 출제되었습니다.(미리 보고 문제를 풀었으면 좋았을텐데 ㅠ.ㅠ)
6. 영주 부사사과 유래
부석사 내려오는길에 영주의 특산품인 부사사과를 판매하고 계십니다.
갑자기 왜 부사라는 이름이 붙었지?하여 알아보니
1930년대 후반에 일본 아오모리현 후지사키정에 위치한 농림성 원예시험장에서 개발된 사과 품종으로 우리나라에는 부사로 불리지만 원래 이름은 후지사과입니다.
일본의 후지산할때 그 후지 맞습니다. 아마 일본 발음으로는 후지이고, 한자 직역은 부사인거 같습니다.
영주 부사사과 맛있는데~ 이름을 알고나니 신기하네요~
'사찰,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계절 가기 좋은 양평 용문사(벚꽃시기,단풍시기) ft.용문사 은행나무 (0) | 2024.03.13 |
---|---|
겨울사찰, 단양 구인사 (0) | 2024.03.04 |
한글날 가볼만한곳 - 여주 세종대왕릉,여주 신륵사(고즈넉한 남한강뷰~) (1) | 2023.1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