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수율/강도율/근로손실일수
도수율 | 연간 재해건수 x 10⁶ 연간 총 근로 시간 |
1,000,000 근로시간당 재해발생 건수 |
강도율 | 근로손실일수 x 10³ 연간 총 근로 시간 |
근로시간 합계 1,000시간당 재해로 인한 근로손실일수 |
근로손실일수 | 휴업일수x근무일 365일 |
도수율과 강도율의 분모는 연간 총 근로시간으로 같다!!
도수율은 연간 재해건수 , 강도율은 근로일수
이래저래 계산하다보면 답과 근사치가 나옵니다 ㅋㅋ
건설안전기사 필기 기출
강도율 계산
A 사업장의 현황이 다음과 같을 때, A 사업장의 강도율은?
- 상시근로자 : 200명 - 요양재해건수 : 4건 - 사망 : 1명 - 휴업 : 1명(500일) - 연근로시간 : 2400시간 |
① 8.33 ② 14.53
③ 15.31 ❹ 16.48
계산식 :
연 근로시간 200명 x 2400시간 = 480000
근로손실일수 사망1명 7500 + 휴업일수(500일)x300일/365일 =7911
{7500+(500x300/365)}x 10³
200x2400
= 7911x1000 / 480000 = 16.48
연평균 200명의 근로자가 작업하는 사업장에서 연간 2건의 재해가 발생하여 사망이 2명, 50일의 휴업일수가 발생했을 때, 이 사업장의 강도율은?
(단, 근로자 1명당 연간근로시간은 2400시간으로 한다.)
① 약 15.7 ❷ 약 31.3
③ 약 65.5 ④ 약 74.3
계산식 :
연 근로시간 200명 x 2400시간 = 480000
근로손실일수 사망2명 7500x2 + 휴업일수(50일)x300일/365일 = 15041.1
{7500x2+(50x300/365)}x 10³
200x2400
= 15041.1x1000 / 480000 = 31.3
도수율 계산
도수율이 25인 사업장의 연간 재해발생 건수는 몇 건인가?
(단, 이 사업장의 댕해 연도 총근로시간은 80000시간이다.)
① 1건 ❷ 2건
③ 3건 ④ 4건
a x 10⁶
80000
= 25
a = 2
근로자 150명이 작업하는 공장에서 50건의 재해가 발생했고, 총 근로손실일수가 120일일 때의 도수율은 약 얼마인가? (단, 하루 8시간씩 연간 300일을 근무한다.)
① 0.01 ② 0.3
❸ 138.9 ④ 333.3
50 x 10⁶
150 x 8 x 300
= 138.889
'공부 > 건설안전기사 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설안전기사] 재해코스트(하인리히,시몬즈) (0) | 2024.05.28 |
---|---|
[건설안전기사] 기인물/가해물 (0) | 2024.05.24 |
[건설안전기사] 안전보건관리책임자/안전보건총괄책임자/안전관리자 (0) | 2024.05.22 |
[건설안전기사] 무재해 운동 3원칙 (0) | 2024.05.20 |
[건설안전기사] 버드의 재해발생 도미노 이론/버드의 재해구성비 (0) | 2024.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