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관리조직
원활한 안전활동, 안전관리를 위한 필요한 조직으로 라인형, 스태프형, 라인-스태프형
안전관리조직의 종류
종류 | 라인(Line)형, 직계형 | 스태프(Staff)형, 참모식 | 라인-스태프(Line-Staff)형 |
규모 | 소규모 사업장 (100명이하) | 중규모 사업장(100~500명) | 대규모 사업장(1000명 이상) |
장점 | - 명령 및 지시가 빠르고 정확 | - 안전정보 수집이 용이 | - 라인형과 스태프형의 장점을 취한 조직 - 안전과 생산 통합관리 |
단점 | 안전정보가 불충분 | 안전과 생산 별개 취급 | 명령계통과 스태프간 충돌 |
※ 안전관리조직의 규모별 형태 구분하기 문제와 각각의 장,단점 알고 있기!
라인형은 이름 자체인 선으로 연결된 의미로 생각했습니다.
주로 장점 혹은 단점은 옳은것 혹은 옳지않은것으로 나옵니다.
건설안전기사 필기 기출
다음 중 소규모 사업장에 가장 적합한 안전관리조직의 형태는?
❶ 라인형 조직 ② 스탭형 조직
③ 라인-스탭 혼합형 조직 ④ 복합형 조직
1000명 이상의 대규모 사업장에서 가장 적합한 안전관리조직의 형태는?
① 경영형 ② 라인형
③ 스태프형 ❹ 라인-스태프형
안전보건관리조직의 유형 중 직계(Line)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대규모의 사업장에 적합하다.
② 안전지식이나 기술축적이 용이하다.
❸ 안전지시나 명령이 신속히 수행된다.
④ 독립된 안전참모 조직을 보유하고 있다.
직계(Line)형 안전조직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명령과 보고가 간단명료하다.
❷ 안전정보의 수집이 빠르고 전문적이다.
③ 안전업무가 생산현장 라인을 통하여 시행된다.
④ 각종 지시 및 조치사항이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안전보건관리조직 중 스탭(Staff)형 조직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안전정보수집이 신속하다.
② 안전과 생산을 별개로 취급하기 쉽다.
❸ 권한 다툼이나 조정이 용이하여 통제수속이 간단하다.
④ 스탭 스스로 생산라인이 안전업무를 행하는 것은 아니다.
'공부 > 건설안전기사 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설안전기사] 무재해 운동 3원칙 (0) | 2024.05.20 |
---|---|
[건설안전기사] 버드의 재해발생 도미노 이론/버드의 재해구성비 (0) | 2024.05.17 |
[건설안전기사] 하인리히 도미노이론/재해구성비/재해예방5단계/재해예방대책4원칙 (0) | 2024.05.16 |
[건설안전기사] 중대재해 (0) | 2024.05.13 |
[건설안전기사] 적응기제 (0) | 2024.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