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인리히 재해발생 도미노 이론
1단계 | 사회적 환경 및 유전적요소 |
2단계 | 개인적 결함 |
3단계 | 불안전한 행동 및 불안전한 상태 물리적 기계적 위험 |
4단계 | 사고 |
5단계 | 재해 |
하인리히 재해구성비
중상 또는 사망 : 경상 : 무상해 = 1 : 29 : 300
( 330건의 사고 중 중상 또는 사망 1건, 경상 29건, 무상해사고 300건)
※ 버드의 재해구성비와 비교해서 외우세요~
의미 혹은 비율계산문제로 나옵니다.
하인리히 재해 예방 5단계
1. 안전조직관리 : 안전에 대한 목표 설정 및 계획 수립
2. 사실의 발견 : 불안전한 요소 발견
3. 평가분석 : 발견된 요소를 평가 분석
4. 시정책의 선전 : 효과적인 개선방법 선정
5. 시정책의 시행 (3E) : 개선방법 실시
3E
- Engineering (기술)
- Enforcement (규제)
- Education (교육)
하인리히가 제시한 재해예방 대책 4원칙
1. 손실 우연의 법칙
2. 예방 가능의 원칙
3. 원인 계기의 원칙
4. 대책 선정의 원칙
※ 저는 손예진 원대로 외우긴 했는데
각자 자신만의 암기법으로~~
그리고 기출보시면 앞글자만 외우면 안되고,
두번째도 손실우연인지 손실적용인지도 알아야함~
건설안전기사 필기 기출
재해예방의 4원칙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❶ 손실 적용의 원칙 ② 원인 연계의 원칙
③ 대책 선정의 원칙 ④ 예방 가능의 원칙
하인리히의 도미노 이론에서 재해의 직접원인에 해당하는 것은?
① 사회적 환경 ② 유전적 요소
③ 개인적인 결함 ❹ 불안전한 행동 및 불안전한 상태
하인리히의 1:29:300 법칙에서 “29”가 의미하는 것은?
① 재해 ② 중상해
❸ 경상해 ④ 무상해사고
재해예방의 4원칙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손실우연의 원칙 ❷ 예방교육의 원칙
③ 원인계기의 원칙 ④ 예방가능의 원칙
하인리히 사고예방대책 5단계의 각 단계와 기본 원리가 잘못 연결된 것은?
① 제1단계- 안전조직 ② 제2단계- 사실의 발견
❸ 제3단계- 점검 및 검사 ④ 제4단계- 시정 방법의 선정
사고예방대책의 기본원리 5단계 시정책의 적용 중 3E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
① 교육(Education) ② 관리(Enforcement)
③ 기술(Engineering) ❹ 환경(Enviroment)
'공부 > 건설안전기사 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설안전기사] 버드의 재해발생 도미노 이론/버드의 재해구성비 (0) | 2024.05.17 |
---|---|
[건설안전기사] 안전관리조직/라인형/스태프형/라인스태프형 (0) | 2024.05.17 |
[건설안전기사] 중대재해 (0) | 2024.05.13 |
[건설안전기사] 적응기제 (0) | 2024.05.13 |
[건설안전기사] 위험예지훈련 4단계 & TBM (0) | 2024.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