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건설안전기사 필기

[건설안전기사] 시스템위험 분석기법(PHA/FHA/FTA/FEMA/HAZOP)

by Milky way.. 2024. 8. 20.
반응형
 시스템위험 분석기법의 종류

 

PHA(예비위험분석)

FHA(결함위험분석)

FEMA(고장형태와 영향분석법)

CA(위험도분석)

ETA(사고수분석법)

THERP(인간과오율 추정법)

MORT

 

시스템 수명주기



예비위험분석(PHA : Preliminary Hazard Analysis)

 

1. 정의 : 최초단계 분석으로 시스템 내의 위험요소가 어느 정도의 위험상태에 있는지를 평가하는 방법으로 정성적 평가방법

2. PHA 특징

 - 시스템에 대한 주요 사고 분류

 - 사고유발 요인 도출

 - 사고를 가장하고 시스템에 발생되는 결과를 명시하고 평가

 - 분류된 사고유형을 카테고리별로 분류

3. Class 분류

 - Class1 : 파국적(사망,시스템 손상)

 - Class2 : 중대(심각한 상해, 시스템 중대한 손상)

 - Class3 : 한계적(경미한 상해, 시스템 성능 저하)

 - Class4 : 무시가능(경미한 상해 및 시스템 저하 없음)

※ 중요 글자만 따서 외웠어요...무한대 파국

결함위험분석(FHA : Fault hazard analysis)

 

1. 정의 : 서브시스템의 해석에 사용되는 기법

2. 기재사항

 - 시스템 의 요소

 - 그 요소의 고장형

 - 고장형에 대한 고장률

 - 요소 고장 시 시스템의 운용 형식

 - 서브 시스템에 대한 고장의 영향

 

고장형태와 영향분석법(FMEA :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is)

 

1. 정의 : 고장을 형태별로 분석하여 그 영향을 검토하는 전형적인 정성적, 귀납적 분석방법

2. 특징

- 장점 : 서식이 간단하다, 적은 노력으로 특별한 교육 없이 분석이 가능하다.

- 단점 : 논리성이 부족하다. 요소 간 영향분석이 안 되기 때문에 2 이상의 요소가 고장날 경우 분석할 수 없다. 물적 원인에 대한 영향분석으로 국한되기 때문에 인적 원인에 대한 분석은 할 수 없다.

 

 

결함수분석(FTA : Falut tree analysis)

 

1. 정의 : 정량적 연역적 분석방법으로 기계, 설비, 또는 인간-기계시스템의 고장이나 재해의 발생요인을 FT도표에 의하여 분석

2. FTA에 의한 재해사례 연구순서 

1단계 : Top 사상의 선정

2단계 : 사상의 재해 원인 규명

3단계 : FT도 작성

4단계 : 개선 계획의 작성

 

FTA 논리기호와 명칭

 

사각형 = (직결)

= (원기회복 할때 원기)

름모 = (마즙 할때 마.. 생마라고 외움)

집 = 통상(집모양은 통상으로 외움)

 

치명도 분석(CA : Ceriticality Analysis)

 

1. 정의 : 높은 위험도를 가진 요소나 고장의 형태에 따른 분석법, 고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는기법

 

위험 및 운용성 분석(HAZOP : Hazard and Oprerability Analysis)

 

1. 정의 : 장비에 대해 잠재된 위험이나 기능 저하 등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고정이나 설계도 등에 체계적인 검토를 행하는 것

2. 유인어

유인어
No 또는 Not 완전한 부정
More 또는 Less 양의 증가 및 감소
As Well As 성질상의 증가
Part of 일부 변경, 성질상의 감소
Reverse 설계 의도의 논리적인 역
Other Than 완전한 대체

 

 

건설안전기사 필기 기출

 

 

예비위험분석(PHA)에서 식별된 사고의 범주가 아닌 것은?

    중대(critical) 한계적(marginal)

    파국적(catastrophic)  수용가능(acceptable)

 

 

서브시스템 분석에 사용되는 분석방법으로 시스템 수명주기에서 에 들어갈 위험분석기법은?

    PHA  FHA

    FTA ETA

 

 

HAZOP 분석기법의 장점이 아닌 것은?

    학습 및 적용이 쉽다.

    기법 적용에 큰 전문성을 요구하지 않는다.

     짧은 시간에 저렴한 비용으로 분석이 가능하다.

    다양한 관점을 가진 팀 단위 수행이 가능하다.

 

 

 

위험분석기법 중 고장이 시스템의 손실과 인명의 사상에 연결되는 높은 위험도를 가진 요소나 고장의 형태에 따른 분석법은?

     CA ETA

    FHA FTA

 

 

FMEA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서브시스템 분석 시 FTA보다 효과적이다.

    양식이 비교적 간단하고 적은 노력으로 특별한 훈련 없이 해석이 가능하다.

    시스템 해석기법은 정성적·귀납적 분석법 등에 사용된다.

    각 요소간 영향 해석이 어려워 2 가지 이상 동시 고장은 해석이 곤란하다.

 

 

인간-기계시스템에서의 여러 가지 인간에러와 그것으로 인해 생길 수 있는 위험성의 예측과 개선을 위한 기법은?

    PHA FHA

    OHA  THERP

 

 

 

결합수분석(FTA)에 의한 재해사례의 연구 순서로 옳은 것은?

㉡→㉣→㉢→㉤→㉠  ㉢→㉣→㉠→㉤→㉡

③ ㉣→㉤→㉢→㉠→㉡ ④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