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건설안전기사 필기

[건설안전기사] 철근공사(철근의 이음/철근의 정착위치/철근의 피복두께)

by Milky way.. 2024. 9. 13.
반응형

 

철근의 피복

 

- 철근콘크리트 구조에서 철근은 부착력, 내화력 및 내구력을 확보하기 위해 일정한 두께의 콘크리트로 피복하여야 함.

- 철근은 화재 시 열을 받으면 인장강도가 대폭 저하하게 되며, 콘크리트도 장기간 지나면 콘크리트의 알칼리성이 중성화되어 철근을 부식시키게 됨.

 

피복두께 확보의 목적

 

- 철근의 부식방지를 통한 구조물의 내구성 확보(물과 이산화탄소의 침투 방지)

- 골재의 유동성 확보

- 철근과 콘크리트의 부착강도 확보

- 화재 시 내화성 확보

 

철근이음

 

- 철근의 이음부는 구조내력상 취약점이 되는 곳이다.

- 이음위치는 되도록 응력이 큰 곳을 피하도록 한다.

- 이음이 한 곳에 집중되지 않도록 엇갈리게 교대로 분산시켜야 한다.

- 철근의 이음을 한곳에서 철근 수의 반 이상을 이어서는 안된다.

 

철근의 이음방법

 

- 겹침이음

- 가스압점이음

- 용접이음

- 기계식이음

- 강관압착이음

- 충전식이음

 

부재별 철근의 정착위치

 

1. 기둥의 주근은 기초에 정착한다.

2. 보의 주근은 기둥에 정착한다.

3. 직교하는 단부보의 밑에 기둥이 없을 때는 보 상호간에 정착한다.

4. 작은 보의 주근은 큰보에 정착한다.

5. 바닥철근은 보 또는 벽체에 정착해야 한다.

6. 지중보 철근은 기초 또는 기둥에 정착한다. 

7. 벽철근은 보, 기둥, 바닥판 또는 기초에 정착한다.

8. 큰 보의 주근은 기둥에 정착한다.

 

※ 건축물의 구조물 그림을 보면서 이해하면 좀 더 도움이 됩니다.

 

 

건설안전기사 필기 기출

 

 

철근의 이음 방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겹침이음     병렬이음

    기계식이음 용접이음

 

 

철근이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철근의 이음부는 구조내력상 취약점이 되는 곳이다.

    이음위치는 되도록 응력이 큰 곳을 피하도록 한다.

    이음이 한 곳에 집중되지 않도록 엇갈리게 교대로 분산시켜야 한다.

     응력 전달이 원활하도록 한 곳에서 철근 수의 반 이상을 이어야 한다.

 

 

철근의 피복두께를 유지하는 목적이 아닌 것은?

    부재의 소요 구조 내력 확보 부재의 내화성 유지

     콘크리트의 강도 증대           부재의 내구성 유지

 

 

철근의 피복두께를 계획할 때 고려사항 중 옳지 않은 것은?

  ❶ 이음의 편의성

  ② 내화성

  ③ 내구성

  ④ 콘크리트의 유동성

 

철근의 피복두께 확보 목적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내화성 확보        내구성 확보

    구조내력의 확보  블리딩 현상 방지

 

 

철근배근 시 콘크리트의 피복두께를 유지해야 되는 가장 큰 이유는?

    콘크리트의 인장강도 증진을 위하여

     콘크리트의 내구성, 내화성 확보를 위하여

    구조물의 미관을 좋게 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타설을 쉽게 하기 위하여

 

 

철근의 정착위치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❶  바닥철근은 보에만 정착해야 한다.

    ② 지중보 철근은 기초 또는 기둥에 정착한다.

    ③ 큰 보의 주근은 기둥에 정착한다.

    ④ 직교하는 단부 보의 밑에 기둥이 없을 때는 상호 간에 정착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