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건설안전기사 필기

[건설안전기사] 고장률/MTTF/MTTR/MTBF/시스템의 수명 및 신뢰성

by Milky way.. 2024. 8. 23.
반응형
고장률의 유형

 

고장률이란? 

특정 시점까지 고장 나지 않고 작동하던 부품이 다음 순간에 고장 나게 될 확률(또는 가능성)

 

- 초기고장(감소형) : 제조가 불량하거나 생산과정에서 품질관리가 안 되어서 생기는 고장이다.

(디버깅 : 초기고장의 결함을 찾아내 고장률을 안정시키는 기간

번인 : 초기고장의 장시간 움직여 보고 그동안 고장난 것을 Screening하여 제거시키는 시간) 

- 우발고장(일정형) : 실제 사용하는 상태에서 발생하는 고장으로 예측할 수 없는 랜덤의 간격으로 생기는 고장이다.

- 마모고장(증가형) : 설비 또는 장치가 수명을 다하여 생기는 고장으로 이 시기의 예방대책은 예방보전(PM)이다.

 

 

MTTF(Mean Time To Failure, 평균고장시간) 

시스템과 제품의 고장을 수리한 이후 사용 개시부터 다음 고장까지의 시간

 

※ 가용도 = MTTF/MTBF

 

MTTR (Mean Time To Repair, 평균수리시간) 

:고장 복구 시간으로  고장을 해결하는 데 걸리는 평균 시간

 

MTTR = 정지 총 시간/ 정지 횟수의 합

 

 

MTBF(Mean Time Between Failure, 평균고장간격) 

시스템과 제품이 고장 난 시간에서 다음 고장까지의 시간

 

MTBF = 정상 가동 총 시간/ 고장횟수(MTTF+MTTR)

 

시스템의 수명 및 신뢰성

 

- 병렬설계 및 디레이팅 기술로 시스템의 신뢰성을 증가시킬수 있다.

- 병렬시스템에는 부품들 중 최대 수명을 갖는 부품에 의해 시스템 수명이 정해진다.

- 직렬시스템에는 부품들 중 최소 수명을 갖는 부품에 의해 시스템 수명이 정해진다.

- 수리가 가능한 시스템의 평균 수명(MTBF)은 평균 고장률(λ)과 반비례 관계가 성립한다. 

- 수리가 불가능한 구성요소로 병렬구조를 갖는 설비는 중복도가 늘어날수록 시스템의 수명이 길어진다.

 

건설안전기사 필기 기출

 

 

병렬 시스템에 대한 특성이 아닌 것은?

    요소의 수가 많을수록 고장의 기회는 줄어든다.

    요소의 중복도가 늘어날수록 시스템의 수명은 길어진다.

    요소의 어느 하나라도 정상이면 시스템은 정상이다.

     시스템의 수명은 요소 중에서 수명이 가장 짧은 것으로 정해진다.

 

 

시스템의 수명 및 신뢰성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병렬설계 및 디레이팅 기술로 시스템의 신뢰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직렬시스템에서는 부품들 중 최소 수명을 갖는 부품에 의해 시스템 수명이 정해진다.

     수리가 가능한 시스템의 평균 수명(MTBF)은 평균 고장율(λ)과 정비례 관계가 성립한다.

    수리가 불가능한 구성요소로 병렬구조를 갖는 설비는 중복도가 늘어날수록 시스템 수명이 길어진다.

 

 

수리가 가능한 어떤 기계의 가용도(availability)0.9이고, 평균수리시간(MTTR)2시간일 때, 이 기계의 평균수명(MTBF)?

    15시간 16시간

    17시간  18시간

 

 

신뢰성과 보전성 개선을 목적으로 한 효과적인 보전기록자료에 해당하는 것은?

    자재관리표 주유지시서

    재고관리표  MTBF분석표

 

 

설비보전에서 평균수리시간의 의미로 맞는 것은?

     MTTR MTBF

    MTTF MTBP

 

 

공장설비를 예방보전에 의하여 방지할 수 있는 고장은 무엇인가?

   ①초기고장  우발고장

   ❸ 마모고장  랜덤고장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