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건설안전기사 필기24

[건설안전기사] O.J.T (직장내 교육)/ Off.J.T(직장외 교육) O.J.T(on the job of training) / Off.J.T(off the job of training) 구분O.J.T (직장내 교육훈련)Off.J.T (직장외 교육훈련)의의- 조직 내부에서 직속상사나 선임자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직무상의 교육- 현장 업무를 통해 지식과 기능, 문제해결능력을 향상- 공통된 교육대상자를 전문적으로 하는 외부기관에서 집단적으로 시행되는 교육 장점1. 개개인에게 적절한 지도훈련 가능2. 직장의 실정에 맞게 현실적, 실제적3. 훈련과 직무가 직결되므로 경제적1. 외부의 전문가를 활용하여  지도,교육 가능2. 다수의 대상에게 조직적,체계적 훈련이 가능3. 훈련에만 전념(훈련효과가 높음)단점1. 다수의 대상을 동시에 훈련시키기가 곤란하다.2. 업무와 교육이 병행되므로 훈련.. 2024. 5. 29.
[건설안전기사] 재해코스트(하인리히,시몬즈) 하인리히의 재해코스트  총재해코스트 = 직접비 + 간접비 = 1 : 4직접비 (법령으로 지급되는 산재보상비)간접비 (재산손실,생산중단 등으로 기업이 입은 손실)요양급여인적손실휴업급여물적손실장해급여생산손실간병급여특수손실유족급여 장례비  ※ 직접비, 간접비 구분하는 문제가 주로 나오는데 직접비에 급여가 붙어서 구분하기 쉽다. 시몬즈의 재해코스트 총재해코스트 = 보험코스트 + 비보험코스트보험 코스트 : 산재보험료비보험코스트 : 휴업상해일수 x A + 통원상해건수 x B + 응급조치건수 x C + 무상해사고건수 x D(A,B,C,D는 각 재해에 대한 평균비 보험 비용) 시몬즈의 비보험코스트휴업상해비용영구 부분 노동불능, 일시 전 노동불능통원상해비용일시 부분 노동불능, 의사의 조치를 요하는 통원상해응급조치비용응급.. 2024. 5. 28.
[건설안전기사] 기인물/가해물 기인물, 가해물 기인물 : 직접적으로 재해를 유발하거나 영향을 끼친 에너지원을 지니 기계, 장치, 구조물, 물체 물질, 사람 또는 환경 가해물 : 근로자에게 직접적으로 상해를 입힌 기계, 장치, 구조물, 물체물질, 사람 또는 환경요인 ※ 문제를 읽다보면 기인물과 가해물의 뉘앙스를 금방 터득하실수 있습니다. 주로 기인물은 다치게 한 물건, 원인 등이고, 가해물은 직접적 상해를 입힌 요인.. 재해의 유형 떨어짐(추락) : 높은 곳에서 사람이 떨어지는 것 넘어짐(전도) : 사람이 미끄러지거나 넘어짐 끼임 : 기계설비에 끼이거나 감김 건설안전기사 필기 기출 다음 재해사례의 분석 내용으로 옳은 것은?작업자가 벽돌을 손으로 운반하던 중, 벽돌을 떨어뜨려 발등을 다쳤다. ❶ 사고유형 : 낙하, 기인물 : 벽돌, 가해.. 2024. 5. 24.
[건설안전기사] 도수율/강도율/근로손실일수 도수율/강도율/근로손실일수 도수율연간 재해건수 x 10⁶ 연간 총 근로 시간  1,000,000 근로시간당 재해발생 건수강도율근로손실일수 x 10³ 연간 총 근로 시간근로시간 합계 1,000시간당 재해로 인한 근로손실일수 근로손실일수휴업일수x근무일365일  도수율과 강도율의 분모는 연간 총 근로시간으로 같다!!도수율은 연간 재해건수 , 강도율은 근로일수이래저래 계산하다보면 답과 근사치가 나옵니다 ㅋㅋ   건설안전기사 필기 기출 강도율 계산 A 사업장의 현황이 다음과 같을 때, A 사업장의 강도율은?- 상시근로자 : 200명       - 요양재해건수 : 4건- 사망 : 1명                      - 휴업 : 1명(500일)- 연근로시간 : 2400시간     ① 8.33   ② 14.53.. 2024. 5. 23.
[건설안전기사] 안전보건관리책임자/안전보건총괄책임자/안전관리자 안전보건총괄책임자, 안전보건관리책임자  안전보건총괄책임자안전보건관리책임자지정대상- 관계수급인의 근로자 포함 상시근로자 100명이상인 사업(선박 및 보트 건조업,1차 금속 제조업, 토사석 광업은 50명 이상)- 총 공사금액이 20억원 이상인 건설공사- 공사금액 20억 이상 건설공사직무1. 위험성 평가2. 작업의 중지3. 도급 시 산업재해 예방조치4. 산업안전보건관리비의 관계수급인 간의 사용에 관한 협의,조정 및 그 집행의 감독5. 안전인증, 자율안전인증 대상기계 등의 사용여부확인1. 산업재해 예방계획의 수립2. 안전보건관리규정의 작성,변경3. 안전보건교육4. 작업환경 점검, 개선5. 근로자의 건강관리6. 산업재해의 원인조사,재발방지대책 수립7. 산업재해에 관한 통계의 기록,유지8. 안전장치 및 보호구 구입.. 2024. 5. 22.
[건설안전기사] 무재해 운동 3원칙 무재해 운동 3원칙 무의 원칙(zero의 원칙)모든 잠재위험요인을 사전에 발견하고 파악, 해결함으로써 산업재해의 근원적인 요소들을 없앤다는 것선취의 법칙(안전제일의 법칙)작업장의 위험요인을 행동하기 전에 미리 발견 파악, 해결하여 재해를 예방하는 것참가의 법칙전원이 협력하여 각자의 위치에서 적극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것 ※ 앞글자만 따서 무참선으로 외웠는데.. 불교 용어 같은 느낌적인 느낌...  건설안전기사 필기 기출 무재해 운동 기본이념의 3대 원칙이 아닌 것은?    ① 무의 원칙 ② 선취의 원칙    ❸ 합의의 원칙 ④ 참가의 원칙  무재해 운동 기본이념의 3원칙이 아닌 것은?    ① 무의 원칙    ❷ 상황의 원칙    ③ 참가의 원칙 ④ 선취의 원칙  무재해운동의 이념 3원칙 중 잠재적인 .. 2024. 5. 20.